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D-30 지방선거]'신규코인 상장&신사업"··· 암호화폐 거래소, 투트랙 전략으로 살아날까

실명 거래제 후 신규 유입 차단... 거래량 급감

거래소, 앞다퉈 신규 코인 상장... 효과 시들

키오스크·연구소·송금 등 신사업 진행

업계 "신규 유입 없이는 백약이 무효"

"정부, 지방선거 후 방향 명확히 해야"

암호화폐 실명계좌 거래제가 시작된 지난 1월30일 오전 IBK기업은행 본점은 비교적 한산했다. /사진=디센터DB

지난 1월30일 시행된 암호화폐 거래 실명제와 계속된 검찰의 압수수색 등으로 침체된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 이후 살아날 수 있을지 관심이다. 거래소들은 시장 반전을 위해 ‘신규 코인 상장과 신사업 추진’의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지만, ‘정부의 규제’라는 근본적 대책 없이는 자생적으로 살아남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투기수요의 진입을 막기 위해 도입된 암호화폐 실명거래제가 시행된 지 100일이 지났지만, 제도가 정착되기보다는 시장을 고착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실명 거래제 이후 사실상 신규 유입이 막히면서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었다. 국내 암호화폐 정보사이트인 코인에스에 의하면 비트코인 거래량은 지난 2월11일 1만7,551 BTC에서 꾸준히 줄면서 지난 10일에는 5,989 BTC으로 3분의1로 급감했다. 또 시장이 위축되면서 기존 투자자들도 실명계좌로 전환한 비율이 30%에 그치는 등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실정이다. 이정아 빗썸 부사장도 최근 한 포럼에 참석해 “지난 1월 일평균 4조원대의 거래량이 (4월) 현재는 10% 수준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국내 주요 거래소 암호화폐 거래량 추이 (단위:BTC) / 자료=코인에스

현재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은행으로부터 신규 계좌를 개설하기는 쉽지 않다. 거래소 중 은행과 계약을 맺은 4곳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쉽게 신규계좌를 열어주지 않고 있다. 거기다 업비트의 압수수색 등 악재가 겹치면서 사실상 사면초가에 빠졌다.

그럼에도 거래소들은 시장 활성화를 위해 신규 코인 상장과 신사업 발굴에 사활을 걸고 있다.

거래소들은 신규 코인 상장을 통해 거래량을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효과는 갈수록 기대치를 밑도는 상황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빗썸이다. 지난 1월 거래 가능한 암호화폐는 12개 종류였다. 그러다 최근 두 달 사이에 10개가 넘는 코인을 신규로 추가했다. 신규 상장은 거래량을 반짝 늘려줬지만, 일시적 현상에 그쳤다. 지난 4월 빗썸 상장 후 엘프 50%, 미스릴 1만%대의 가격 폭등과 거래량을 보였지만, 지난 10일 상장한 질리카와 에토스는 상장 후 10%를 밑도는 한 자리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사업을 통한 신규 수익원 발굴에도 적극적이다. 빗썸은 키오스크 사업에 뛰어들었고 업비트는 자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을 개설했다. 코인원은 리플 기반 국제송금 시스템을 준비 중이다.

업계에서는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정책 방향 전환과 이를 통한 신규 자금 유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거래소가 신규 코인을 상장시켜도 신규 유입이 차단된 상황에서는 효과가 반감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지방선거 이후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가 실명제 시행 이후 사실상 중단된 신규계좌 발급 문제에 대해 명확한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신사업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싶지만,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는 관심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정부가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둔 거래소 규제 방안을 잘 마련해서 선거 이후 내놓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경쟁력을 갖춘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관심이 더 식기 전에 정부가 뚜렷한 규제방향을 제시하길 바란다”며 “어떤 방향이든 정부의 명확한 입장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박정연기자 drcherryberry@decenter.kr

박정연 기자
drcherryberry@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