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자체 블록체인 개발한 박성준 교수 "국내에서 ICO한다"

박 교수 "국내에서 ICO 준비중…정부에 보여주겠다"

박 교수, 자체 개발 블록체인 '앤드어스', 올 연말 출시 계획

"정부 ICO금지는 잘못된 정책, 부가가치 외국에 줄 이유있느냐," 지적

"누군가는 가야할 길, 일자리 창출 위해 국내 ICO 추진"

"제주도서 합법적으로 ICO할 수 있길 꿈꾼다"

박성준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장./ 사진= 김연지 기자

“지금 만드는 블록체인은 아시아의 이더리움을 지향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입니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의 ICO(암호화폐공개)는 국내에서 진행할 계획입니다. (국내 ICO는) 가시밭길이지만 누구 하나는 해야만 합니다. 누군가는 우리나라 정부에게 건전한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생태계가 생겨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미래 산업에 대비해야 하니까요.”

박성준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장(사진)은 지난 13일 디센터 기자와 만나 “국내 ICO는 결국 블록체인으로 발생하는 부가가치가 국내에 머물도록 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새로운 세계에 진입하자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박 교수는 지난 2016년 국내 대학에서는 처음으로 출범한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에서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후 블록체인 전문가 양성을 위해 동국대학교에 블록체인 석사과정을 만드는 데 공헌하기도 했다. 그 스스로는 암호화폐의 조상이라 불리는 데이비드 차움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암호학 전문가다. 그는 현재 ‘앤드어스(AndUs)’라는 명칭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ICO를 준비하고 있다. 박 교수에 따르면 ICO는 올해 안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앤드어스 프로젝트는 다수의 블록체인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치고 있는 단계다. 박 교수는 앤드어스를 이더리움의 단점으로 꼽히는 속도와 탈중앙화 문제를 해결한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소개했다. 박 교수는 “프로젝트는 토큰 생태계를 이루기 위한 인프라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라며 “앤드어스는 차세대 이더리움이자 아시아의 이더리움”이라고 강조했다.

앤드어스에 적용되는 합의 알고리즘은 deb 합의 알고리즘이다. deb 합의 알고리즘이 무엇인지 묻는 기자의 질문에 박 교수는 “정확한 뜻은 오는 연말쯤 공개할 것”이라면서도 “특정 채굴자들만 채굴할 수 있는 PoW(Proof of Work·작업증명)와 PoS(Proof of Stake·지분증명) 방식을 뒤집어 놓은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deb 합의 알고리즘을 통하면 지속 가능한 탈중앙화 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초당 처리 속도 또한 1,000tps 이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박 교수의 주장이다. 현재 이더리움은 15~25TPS, 또다른 플랫폼 블록체인인 EOS는 2,850TPS의 속도를 내고 있다. 그는 “deb 합의 알고리즘의 목적은 채굴 균등성”이라며 “컴퓨팅 파워 또는 보유지분 등과 상관없이 모든 노드에게 공정한 채굴 확률을 보장하면서 지속 가능한 탈중앙화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주된 골자”라고 말했다.

여느 합의 알고리즘과는 달리 deb 합의 알고리즘은 채굴과 암호화폐 발행의 연계를 끊어버린 모델이다. 박 교수는 “(deb 합의 알고리즘은) 채굴과 암호화폐 발행이 상호 무관한 최초의 퍼블릭 블록체인을 개발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채굴을 원하는 노드들이 채굴리그 참가비로 각 100원씩 낸다고 치자”며 “100개의 노드가 모이면 1 만원이 되는 것인데, 해당 시스템은 복권과 같은 시스템이라 참가한 노드 중 채굴에 성공한 사람만이 참가비 일부와 거래 수수료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에게 왜 국내에서 ICO를 하려고 하는지 물었다. 그는 “ICO를 금지한 정부 정책이 잘못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박 교수는 인터넷이 생겨날 당시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인터넷이 나오던 시기 인터넷진흥정책으로 IT인프라 강국이 되는데는 성공했지만 인터넷 산업 강국은 되지 못했다”며 “페이스북이나 아마존 모두 우리나라 기업이 아닌 것처럼 IT인프라를 구축했지만 인재 육성과 산업 혁신에는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이 블록체인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정작 인터넷 진흥정책 만큼도 (육성) 정책을 펼치지 않고 있다”며 “똑같은 실패를 블록체인에서 또 할 수는 없다. 사람을 키우고 산업을 혁신하려는 물꼬를 틔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에서 ICO가 허용될 경우 장점으로 ICO를 통한 부가가치가 외국으로 빠져나가지 않아 더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진다는 점을 꼽았다.

박 교수는 일각에서 제기하는 암호화폐를 통한 자금 세탁 우려와 관련 “ICO 투자자자들에게 신분인증(KYC)를 다 받고, 자금세탁방지규정(AML)을 다 따르겠다는데 무슨 자금 세탁이냐”고 했다. 이어 “변동성이 크다지만 역시 선물, 공매도가 더 큰 것 아니냐”며 “규제를 하되 이는 활성화를 위한 규제여야지, 규제를 위한 규제여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국외에서 ICO를 한다면 적절한 국가는 어디라고 생각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박 교수는 “무조건 한국”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원희룡 제주도지사를 중심으로 제주도를 블록체인 특구로 만들려는 움직임을 들며 “제주도가 합법적인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돼 합법적인 절차를 밟고 싶다”며 “제주도 특별 자치도를 ICO 및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하겠다는 한 마디면 산업이 활성화될텐데 그 누구도 책임지고 싶어 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 문제”라고 했다.

박 교수는 “블록체인은 저비용 창업 생태계를 이뤄낼 수 있는 혁신인만큼 우리나라는 반드시 블록체인 강국이 돼야 한다”며 “내 아들, 딸 세대가 잘 먹고 잘 살 수 있는 경제 기반을 다질 수 있다면 가시밭길이지만 가겠다”고 했다.
/김연지기자 yjk@decenter.kr

김연지 기자
yjk@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