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중심이었던 기존 경제 체계가 ‘데이터’ 중심으로 발전하고, 이에 따라 분산 신원인증(DID)이 인기를 끌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블로코는 ‘데이터, 생산 중심의 경제지표를 다시 쓰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 블로코는 DID 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를 활용하는 산업의 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이는 새로운 가치 창출로 연결돼 경제 체계가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로코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무역 및 금융 산업 규모는 줄어들고, 데이터 산업의 규모는 지속해서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트위치 등 데이터 산업에 기반한 플랫폼은 제조업에 비해 훨씬 낮은 비용으로 수억 명의 유저 베이스를 확보했다는 것을 예시로 들었다.
블로코는 올해 초 데이터 3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DID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업들이 데이터 유출을 막기 위해 설치했던 데이터 장벽을 걷고, 서로 데이터를 공유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데이터가 움직이는 과정에 이용자 스스로 개인정보를 보관 및 사용하는 DID 기술을 사용하려는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정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산업군에 국한되지도 않으며 규모의 제약도 받지 않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데이터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고도 보고서는 강조했다. 이에 각 산업 및 기업 간에 이른바 ‘파괴적 협력’을 이뤄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서 ‘디지털세(Digital tax)’ 논의도 활발해질 것이라고도 예측했다.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서비스로 국경을 초월한 수익을 올리지만, 세금은 내지 않고 있는 기업이 데이터세 납부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사업장의 소재 국가가 아닌 서비스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해 과세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김원범 블로코 대표는 “데이터 공유량과 이에 따른 가치 창출에 따라 국가 경쟁력을 평가할 시대가 머지않았다”며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파괴적 협력을 확대할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노윤주기자 daisyroh@decenter.kr
- 노윤주 기자
- yjr0906@decente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