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O(거래소공개·Initial Exchange Offering)가 활성화한다면 (ICO에 부정적인) 정부의 시각에 변화가 생기고 규제 리스크 또한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합니다. 글로스퍼는 현재 외국 거래소와 함께 IEO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 블록체인 업체인 글로스퍼의 김태원 대표는 지난 17일 디센터 기자와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ICO 트랜드가 점차 IEO로 번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IEO는 ICO의 문제점을 바로 잡는다는 취지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발행업체의 새로운 투자자금 공모 방식이다. 블록체인 프로젝트팀이 코인을 발행한 후 제휴 거래소에 맡기면 거래소가 대신 판매해주는 형태를 갖추고 있다. 거래소는 프로젝트를 선별한 후 자신의 플랫폼에서 코인을 팔고, 투자자는 거래소에서 코인을 사면 된다. 프로젝트 팀 입장에서는 엄격한 규제를 피할 수 있고 투자자들은 거래소를 통해 신용을 보강받을 수 있어 일종의 대안 ICO라는 평가가 나온다.
글로스퍼도 IEO를 하려는 업체들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를 준비하고 있다. 김 대표는 “(글로스퍼는) 기술보증기금의 기술 평가 등을 거쳐 인정받은 기술과 스타트업을 거래소로 직상장시키려 한다”며 “현재 외국 거래소와 함께 직상장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에게 IEO의 장단점을 물었다. 그는 “(IEO에서는) 개발 또는 공모와 동시에 거래소 상장이 이뤄지기 때문에 스캠 논란으로 인해 산업을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정부의 시각에 긍정적인 변화가 생길 여지가 있다”며 “규제 리스크 또한 상당히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다수의 기존 프로젝트들은 백서 등을 통해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만 강조하는 반면 IEO는 코인을 발행할 능력이 없을 경우 상장 자체가 힘들기 때문에 스캠이나 비현실적인 코인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IEO는 ERC 20 토큰만 만들 수 있으면 누구나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ICO와 같지만, 백서만 있는 상태에서 투자자금을 모집하는 ICO와 달리 거래소의 검증 단계를 한번 더 거치게 된다는 차이가 있다”며 “때문에 블록체인 산업에서 (기술을 구현해내지 못하는) 가능성 없는 종목들의 시도가 줄어들면서 순수한 기술이나 성장성 높은 산업들이 주목받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물론 IEO의 단점도 있다. 현재 탈중앙화된 기술로 만들어진 거래 시장의 최대 리스크인 중앙화된 거래소의 권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꼽힌다. 김 대표는 이에 대해 “IEO가 트랜드로 자리 잡으면 적어도 탈중앙화 거래소의 성공모델이 나오기 전까지 거래소의 권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IEO 준비 자체를 거래소에 의존적으로 하는 코인이나 거래소에서 준비하는 코인들이 생겨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경우 거래소와 프로젝트간의 유착이 심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투자자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김 대표는 “(중앙화된 거래소 권력이 극대화되면)정부나 정책기관 등에서 산업을 인정하기까지 오히려 시간이 더 오래 걸리거나 산업 인정 가능성이 더욱 낮아지게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IEO에 앞서 올초 이더리움의 아버지로 불리는 비탈릭부테린 역시 ICO의 부작용을 막기위해 다이코(DAIC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과 ICO의 합성어)라는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동안 ICO는 유치한 투자금 전액을 암호화폐 발행사가 한번에 가져가기 때문에 추후 개발에 실패하거나, 애초부터 사기였다는 점이 나중에 밝혀져도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할 방법이 없었다는 단점으로 꼽혔다. 부테린은 이에 스마트콘트랙트를 이용해 유치한 투자금의 일부만을 암호화폐 발행사에게 배분하고, 나중에는 로드맵을 달성할 때마다 일부 암호화폐 발행사가 가져갈 수 있도록 설계하는 내용을 골자로 DAICO를 제안했다.
김 대표는 DAICO에 대해 “논리적인 알고리즘은 좋다”고 평가하면서도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기에는 시간이 필요한 모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반면)IEO는 현실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라며 “거래소와 시장이 지지하면 바로 적용이 가능한 모델이며 부작용 또한 진행과정에서 해소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IEO와 DAICO가 서로 다른 관점에서 발전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어느 한쪽이 완벽하게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연지기자 yjk@decenter.kr
- 김연지 기자
- yjk@decente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