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일찍이 블록체인 사업에 뛰어들었다. 클라우드 기반 자체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GIGA Chain BaaS(Blockchain as a Service)’를 개발해 다양한 유즈 케이스를 쌓아왔다. 금융·헬스케어·교통결제 정산·식품 유통 등 여러 분야에 블록체인을 적용했다. 그러나 레거시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곧바로 도입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블록체인의 효용성을 입증하는 게 관건이었는데, 굳이 블록체인을 적용할 이유를 찾기가 어려웠다. 기존 체계가 공고한 탓이었다. KT가 탄소배출권 시장으로 눈을 돌린 배경도 여기에 있다. 아직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지 않는 분야에 블록체인을 도입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KT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고 있는 심재희(사진) KT블록체인 비즈센터 팀장을 지난 2일 만나 KT의 블록체인 사업 전략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심재희 팀장은 “새로운 분야에 블록체인을 결합할 경우, 실질적으로 산업에서 요구하는 사안에 맞춰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어 효용성이 높다”며 ‘KT 이체인(KT e-Chain)’ 사업을 구상한 배경을 전했다. KT 이체인은 기가체인 위에서 구동되는 탄소배출권 관리 플랫폼이다.
KT가 특히 주목한 부분은 ‘탄소배출 외부사업’이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는 매년 기업의 탄소 배출 총량을 정해 배출권을 할당한다. 보통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에 탄소배출권이 할당된다. 여분 또는 부족분의 배출권에 대해서는 사업장간 거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업체 외에도 지자체와 같은 ‘외부사업자’도 탄소를 줄일 수 있다. 외부사업자가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 흡수 또는 제거하면 이를 증명하는 인증실적(KOC)을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에 판매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할당된 탄소배출권을 초과해 탄소를 배출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삼성전자는 외부사업자가 판매하는 KOC를 사들여 초과분을 상쇄할 수 있다. 외부사업자인 지자체 입장에선 에너지를 절감해 환경도 보호하고, 새로운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사업인 셈이다.
그러나 그간 온실가스 감축 검증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이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게 심 팀장의 설명이다. 그는 “블록체인을 적용하면 탄소배출 외부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전했다. 지자체에서 보유한 가로등을 전력이 적게 소모가 되는 LED 등으로 교체했을 경우 기존에는 일일이 전력 감소 규모를 사람이 확인하고 기록해야 했다. 블록체인을 도입하면 이러한 과정이 간소화된다.
KT 블록체인으로 근거 데이터를 수집한 뒤 연구소로 전달해 지자체 소유의 KOC를 생성하고 판매하는 것이다. 가로등 교체 외에도 녹지사업, 보안등 등 다방면에서 근거 데이터를 축적해 KOC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심 팀장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보고서가 자동적으로 블록체인 위에 만들어진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이체인 플랫폼의 주요 목표 고객은 지자체”라며 “향후 공공기관이나 기업 등 탄소배출 할당이 되지 않는 공공기관이나 기업도 고객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KT는 이 시스템을 구축해준 뒤 사용료를 받아 수익을 창출한다.
향후에는 이체인 상에서 시민펀드를 운영할 계획도 갖고 있다. 지방 자치단체가 지역민을 대상으로 협동조합을 만들면, 협동조합에 가입할 의사가 있는 지역민은 일정 금액을 출자한다. 출자 증명서는 블록체인에서 발행된다. 협동조합은 태양광 발전소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투자하고, 운용 수익은 블록체인 상에서 투명하게 배분된다. 기존 모델과 달리 펀드 운용사, 판매사 등 이해당사자가 줄어들어 수수료는 감소하고 수익은 증가하는 구조다. 심 팀장은 “새로운 모델을 지속해서 시도해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T는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플랫폼 ‘착한페이’를 통해 춘천시 소양에너지페이, 공주페이, 김포페이, 울산페이, 칠곡사랑카드 등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가장 큰 규모로 운영하던 부산시 동백전 사업은 수주에 실패했다. 심 팀장은 “실주해서 안타깝지만 블록체인 통해 확산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개의치 않는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이체인 플랫폼이 활성화되면 지역화폐와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지역주민이 자가 소비 목적으로 태양광 등을 주택에 설치하면 탄소배출 상쇄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지자체가 이를 합산해 KOC를 판매한 뒤 수익을 내면 지역주민에게 지역화폐 형태로 보상을 지급하는 식이다. 심 팀장은 “주민이 자발적으로 탄소 중립에 기여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인센티브가 지역 내에서 소비가 되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보탬이 돼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심 팀장은 “아직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전환 계획은 없다”고 못박았다. 현재 KT 블록체인 사업의 주요 고객은 지자체 등 정부, 기업이 대부분이다. 그는 “공공기관, 기업은 기존 퍼블릭 블록체인의 높은 수수료 등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해 주길 바란다”며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B2B(Business to Business), B2G(Business to Government) 사업에선 훨씬 더 좋은 방식”이라고 밝혔다.
그는 올해 “이체인 확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지역화폐 비즈니스를 확산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도예리 기자 yeri.do@
- 도예리 기자
- yeri.do@decente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