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대기업 '철수' 금융권 '진출'···엇갈린 웹3 행보

SKT·카카오 등 대기업 웹3 도전 잇따라 좌절

글로벌 경쟁력 부족에 기존 사업 연계도 실패

규제·자금난에 발목 잡힌 국내 웹3 생태계

기회 엿본 금융권…관련 투자 '가속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SK텔레콤 등 웹3 분야에 공격적으로 뛰어들었던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사업을 접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들 기업의 서비스가 해외 프로젝트 대비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실패 요인으로 지목했다. 경기가 위축되면서 기업들이 당장 성과를 기대하기 힘든 미래 지향적 사업에 투자를 대폭 줄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서비스와 격차... 기존 사업 연계 실패




3일 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국내 대기업의 웹3 사업 실패 요인으로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꼽았다. 오태완 INF CL 대표는 “기존 비즈니스에 웹3를 접목하는 방식을 취했어야 경쟁력이 있는데 웹3로 새로운 시도를 하려고 해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사례로 이달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웹3 전담조직을 해체한 SKT가 대표적이다. SKT는 대체불가토큰(NFT) 마켓플레이스 탑포트, 가상자산 지갑 T월렛 등 다각도로 웹3 사업에 진출했다. SKT의 기존 사업이 아닌 웹3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도한 셈인데, 문제는 글로벌 시장에 이미 경쟁력 있는 서비스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점이다. 오픈씨·블러·매직에덴 등 NFT 마켓플레이스, 메타마스크·코인베이스 월렛 등 가상자산 지갑 등이 단적인 예다. 이들 기업은 웹3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생태계 내 입지를 공고히하고 있다.

지난 2019년 메인넷을 출시하며 일찍이 블록체인 분야에 뛰어들었던 카카오도 비슷한 실패를 맛봤다. 카카오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엑스가 운영하던 NFT 마켓플레이스 클립드롭스는 지난해 스타트업 세번째공간에 인수됐다. 같은 해 가상자산 지갑 클립은 카카오톡 애플리케이션에서 빠졌다. 오 대표는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웹3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데다 레거시 시스템 등으로 인해 (웹3 분야) 비즈니스 난도가 높다”고 짚었다.

규제·자금난에 막힌 국내 웹3 시장 확장


웹3 사업이 장기적으로 투자가 필요한 분야라는 점도 기업들이 사업을 접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블록체인 기술 기업 수호아이오의 박지수 대표는 “현 시장에서는 명확한 사업 성과가 요구되는데, 지출 대비 효용이 나오는 블록체인 관련 사업은 국내 규제로 인해 쉽게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글로벌 트렌드에 비해 국내에선 기업들의 투자가 축소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테면 국내에서 가상자산사업자(VASP)로 등록된 기업은 거래소, 지갑, 커스터디 등으로 한정돼 있다. VASP에 허용된 관련 사업 분야가 제한적이라는 방증이다. 이에 따라 제도가 개선되기까지 당장 성과를 내기 힘들어 웹3 분야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는 의미다. 오 대표도 “웹3는 미래지향적 투자 사업인데 경기 불황에 따라 인공지능(AI) 정도를 제외한 투자사업 비중이 축소되고 있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기회 엿본 금융권... 관련 투자 '가속도'


다만 이러한 투자 위축 흐름 속에서도 예외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곳이 있다. 전통 금융권에서는 관련 사업 확장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우리은행은 최근 커스터디 기업 비댁스에 지분 투자를 진행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신년사에서 미국의 가상자산 규제 완화 흐름을 선제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대표는 “가상자산 거래소가 증권사보다 더 높은 영업이익을 내고 있고, 유동성이 국내 주식에서 해외주식·가상자산으로 흘러가면서 가상자산 투자 시장에 대한 매력도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전통 금융권이 가상자산 유통 시장도 넘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박 대표도 “기존에 은행은 커스터디 등 사업만 가능했는데 디지털 금융으로 가상자산 유통까지 넘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비즈니스 모델 다각화를 노리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토큰증권(STO),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등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면서 전통 금융권의 웹3 사업 진출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대기업과 전통 금융권의 엇갈린 웹3 행보가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의 구조적 과제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오 대표는 “대기업의 잇따른 철수로 다른 기업들도 웹3 진출을 꺼리게 될 것”이라면서도 “이는 웹3 모델 자체의 실패가 아닌, 전통 기업의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가 겪는 시행착오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권에서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시도하고 있지만 금융산업의 강한 규제와 상호연계성으로 인해 제도 마련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청사진을 세워 국내 웹3 산업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 대표는 “(국내 기업들이) 규제로 인해 뒤처지다가 뒤늦게 글로벌 행보를 따라가고, 그러다 사고가 터지면서 다시 규제가 덧씌워지는 건강하지 않은 루틴이 반복될 수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가상자산에 대한 장기적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예리 기자
yeri.do@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