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비트코인 역프 -2% 확대···신고가 행진에도 위축된 韓거래소

업비트 거래량 33위 추락…바이낸스와 10배 격차

투자자 이탈 가속…해외 거래소로 중심 이동

거래소는 ‘코인 빌리기’ 도입…실적 방어 총력

11일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 강남본점에 비트코인(BTC) 시세가 표시돼있다. 연합뉴스


비트코인(BTC) 가격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지만 국내 시장은 거래량 감소와 ‘역(逆)김치프리미엄(역프)’ 현상으로 존재감을 잃고 있다. 과거 상승장 때 해외보다 12% 높았던 국내 가상자산 시세는 최근 오히려 낮게 형성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이탈이 본격화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1일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전날 국내 주요 거래소에서 형성된 BTC 가격은 해외 평균 시세보다 약 -1.8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세가 해외보다 낮은 이른바 ‘역프’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이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기관과 외국인 참여가 제한된 구조로 인해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해외보다 비싸게 형성되는 ‘김치프리미엄(김프)’ 현상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상승장에서는 높은 시장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김프가 치솟는 경향이 컸다. 실제로 지난해 3월 BTC가 처음 1억 원을 돌파했을 당시 국내 시세는 해외보다 약 12% 높았다.

그러나 지난해 미국에서 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된 것을 기점으로 가상자산 시장의 주도권이 해외로 넘어가며 국내 시장은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반대로 국내 시세가 해외 시세에 비해 낮은 역김치프리미엄 현상이 잦아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5년 연초 이후 비트코인 가격과 김치 프리미엄 지표 추이. 자료 제공=크립토퀀트


거래량 측면에서도 국내 시장 위축이 두드러진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게코가 지난 달 30일 발간한 중앙화가상자산거래소(CEX) 시장 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업비트의 거래량은 직전 분기 대비 34% 급감하며 상위 10대 거래소 중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는 15.7% 감소에 그쳤고 멕스씨(MEXC)의 거래량은 1.8% 소폭 하락에 머물렀다.

실제로 11일 오후 3시 코인마켓캡 기준 업비트의 24시간 거래량은 약 32억 달러(약 4조 4032억 원)로 전체 거래소 중 33위까지 내려앉았다. 같은 기간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거래량이 약 307억 달러(42조 2432억 원)에 달한 것과 비교하면 거래량 차이는 10배로 벌어졌다. 국내 2위 거래소인 빗썸의 거래량은 이보다 낮은 19억 달러(약 2조 6144억 원)에 머물렀다.

업계에서는 이를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이탈이 가속화된 결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바이낸스, 바이비트 등 글로벌 대형 거래소들은 선물과 레버리지 등 다양한 파생상품 거래를 지원하지만 국내 거래소는 현물 거래에 한정돼 투자자들의 선택지가 좁다"며 “활황장에 더욱 높은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자연스럽게 해외 거래소로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국내 시장이 상승장에도 힘을 받지 못하면서 조만간 발표될 거래소 2분기 실적도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내년 초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빗썸을 필두로 거래소 간 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마케팅과 인력 확충 등 비용 부담도 커지고 있다. 올해 1분기 공시에 따르면 빗썸의 1분기 영업비용은 1269억 원으로 전년 동기(762억 원) 대비 67% 급증했다. 특히 광고선전비는 96억 원을 넘어가며 전년 대비 5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근 업비트와 빗썸은 투자자 이탈 방지책으로 가상자산 공매도·레버리지 거래가 가능한 서비스를 내놨다. 그러나 해당 서비스는 현행법 상 명확한 규율이 없어 규제 사각지대에서 운영되고 있다.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두 거래소의 코인 빌리기 서비스가 대부업에 해당하는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국내 시장 경쟁력 회복을 위해 신속한 제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적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경우 거래소 수익 모델 다각화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다.
김정우 기자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