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빅테크·핀테크에 고객 뺏길라"··· 디지털 탈바꿈하는 은행

비대면 주담대 상품 등 잇단 출시

채용·인사에도 AI·빅데이터 활용

'생활 속의 금융' 현실화 눈앞


은행, 카드사, 보험사 등이 최근 주목하는 상품이 있다. 케이뱅크가 출시를 예고한 비대면 아파트담보대출이다. 그동안 금융권에서 디지털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봤던 복잡한 대출 상품을 모바일로 선보이겠다는 데 금융권의 시선이 온통 쏠린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금융권에서 디지털 전환이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자리잡았다. 각종 모바일 대출 상품을 출시할 뿐만 아니라 채용·인사 등 내부 경영에까지 인공지능(AI)·빅데이터가 적용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기업과 손잡고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나서면서 고객의 생활 속으로 금융의 ‘오지랖’이 넓어지고 있다. 디지털금융 빅뱅 시대에 금융사가 빅테크·핀테크와 맞서 살아남으려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를 찾아 디지털 역량을 하루빨리 쌓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디지털 차별화 찾기 나선 금융권


금융과 ICT·유통 등의 영역 구분이 허물어지면서 금융권에서는 생존에 대한 긴장감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토로한다. 기존에 해오던 대로 여·수신 업무를 하다간 네이버·토스·뱅크샐러드 등 정보기술(IT)로 무장한 기업에 고객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금융사들이 네이버·토스 등 ‘메기’의 등장으로 디지털 탈바꿈에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은행이 못하는 부분을 빅테크가 메워주기는 하겠지만 빅테크가 완전히 은행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가령 아무리 네이버가 편해도 거액을 대출받을 때는 계속해서 은행을 찾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신용평가 등 은행이 잘할 수 있는 분야는 분명 있다”며 해당 분야에 디지털을 접목하는 등 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금융권에서는 각종 비대면 상품 개발이 쏟아지는 추세다. 최근 시중은행·인터넷전문은행·저축은행에서 잇따라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선보이는 게 대표적이다. 주담대 특성상 거액이 대출되다 보니 고객이 미리 준비해야 하는 서류가 10종, 은행에서 쓰는 서류도 18종이나 된다. 서류 준비에만 2일, 은행에 방문해 상담하는 데만 1시간이 넘게 소요됐다. 그동안 채권 보전을 이유로 이 과정을 비대면화하는 데 소극적이었던 은행이 스크래핑·빅데이터 등을 동원해 서류를 제출할 필요 없이 하루 안에 신청부터 대출금 지급까지 가능한 상품을 내놓기 시작한 것이다. 케이뱅크가 기존 주담대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대환 목적의 모바일 주담대를 출시한 가운데 신한·하나·우리은행에서도 올해 하반기 대환, 신규 주택 구입 목적의 모바일 주담대를 출시할 예정이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빅테크와 다르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는 인식이 내부에서 강하다”며 “누구나 할 수 있는 수준의 디지털금융이 아니라 주담대처럼 복잡하고 어려운 수준의 디지털 금융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채용·인사도 AI·빅데이터로
국내 은행들이 디지털 DNA를 심으려는 노력은 회사 경영활동에서도 엿볼 수 있다. 기존 금융사기, 보안 사고 적발에 AI·빅데이터를 이용해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을 높인 데서 채용·인사로까지 활용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당장 하나은행은 올해 하반기 공채부터 자기소개서 평가에 AI를 활용할 방침이다. 하나은행 측은 “지난해 채용에서 실제 AI 결과를 반영하지는 않았지만 시범 운영했다”며 “하반기 공채에 자기소개서 평가하는 데 AI를 의미 있는 수준으로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 역시 하반기 공채 면접 대상자에게 AI 면접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미 AI를 채용에 도입한 은행들도 있다. KB국민은행은 2018년도 하반기 공채부터 AI 면접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신한은행도 올해 상반기 수시 채용 과정에서, 기업은행은 청년인턴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AI 역량평가를 시행했다.

채용 외에 대규모 직원 인사에도 AI를 적용하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직원의 업무 경력, 근무기간, 자격증, 출퇴근 거리 등을 분석해 근무지를 선정하는 식이다. 국민은행이 은행권 중 최초로 하반기 영업점 직원 인사 이동에 AI 알고리즘을 적용한 데 이어 하나은행에서도 하반기 인사에 AI를 활용한 사내 인사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은행도 내년 상반기 인사에 빅데이터로 분석한 출퇴근 경로를 반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금융권이 AI·빅데이터를 인사·채용에까지 적용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을 크게 단축해주기 때문이다. 강영신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원은 “1만명의 자기소개서 검토시 인사담당자 10명을 기준으로 하루 8시간 동안 총 일주일이 소요되는 반면 AI를 활용하면 8시간이 소요돼 직원의 업무량을 줄일 수 있다”며 “AI로 자동검증을 거쳐 인사하면 영업점 내 동일직무 직원들이 동시에 인사가 나 인수인계에 어려움을 겪거나 업무의 맥이 끊기는 문제도 방지해준다”고 설명했다.

‘생활금융’ 시대 본격화…제휴는 필수
금융권 안팎에서는 기존 금융사들이 디지털 탈바꿈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외부와의 협력이 필수라고 지적한다. 금융사 혼자만으로 디지털 역량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생활 영역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금융 외 다른 영역과의 접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이 KT와 손잡고 마이데이터 사업 공동추진 업무협약을 맺은 데 이어 KB금융도 엔씨소프트와 함께 AI 기반 투자자문 합작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SK텔레콤과 공동 출자해 ‘핀크’를 설립했다. 신한카드는 SK텔레콤과 빅데이터 사업 전략적 제휴를 맺고 관광 분야에서 카드 결제 데이터와 이동통신사의 위치 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활용을 예고했다. 기존에는 카드 결제데이터만 갖고 있어 고객의 실제 위치와 이동 방향을 고려한 활용이 제한적이었다면 SK텔레콤의 위치 정보를 결합해 관광 분야에서 다양한 컨설팅 및 마케팅에 활용하겠다는 게 신한카드 측 설명이다.

금융권에서는 고객의 일상생활 속 결제·대출·송금 등 금융 관련 서비스가 녹아 들어가는 ‘생활 금융’의 강자가 디지털 대전환에서 살아남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간편결제 업체의 선불결제 한도를 확대하고 후불결제가 도입되는 등 관련 시장이 커지는 데 따라 금융권에서도 간편결제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제휴가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A 은행의 디지털 담당 고위 임원은 “네이버에서 쇼핑도 하고 쉽게 결제도 하는 데서 나아가 금융 업무까지 볼 수 있게 되면 고객이 더 이상 다른 곳을 이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될 것”이라며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 제휴를 맺을 업체들을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김지영기자 jikim@

김지영 기자
jikim@sedaily.com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