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로 쪼개져 있던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 협회가 하나로 뭉쳤다. 법적 구속력을 행사할 수 있는 협회가 되기 위한 첫 단추를 꿴 셈이다. 이에 따라 사분오열돼 있는 한국 거래소 협회들도 하나로 합쳐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25일 외신 등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모임인 일본가상통화사업자협회와 일본블록체인협회가 일본가상통화거래소협회로 새롭게 출범했다.
두 협회의 통합작업은 일본 금융청이 한 개 단체에 대해 규칙준수에 대한 법적 강제력을 갖는 자주규제단체 인가를 내 주겠다고 밝히면서 시작됐다. 이번에 출범한 협회에는 일본 1위 거래소 비트플라이어와 금융청에 등록된 16개 거래소가 모두 가입해 있다. 이처럼 등록허가를 받은 주요 거래소가 모두 참여한 만큼 금융청이 자주규제단체로 인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협회장을 맡은 오쿠야마 다이젠 머니파트너스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한두 달 내에 자주규제단체로 인정 받기는 힘들다고 본다”며 “인가를 위해 체제정비 및 인력확보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해킹에 대비한 보안 대책과 내부관리 규칙 외에도 광고와 공시사항에 대한 조항도 마련할 예정이다.
또 협회는 별도의 외부장치에 암호키를 보관하는 콜드월렛과 암호화폐를 송금할 때 복수의 서명을 요구하는 다중서명 규정을 도입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지난 1월 발생한 5,800억원 규모의 코인체크 해킹사건이 암호키를 온라인(핫월렛)에 보관하고, 안전장치인 다중서명도 도입하지 않아 발생했기 때문이다. 가노 유조 협회 부회장은 “신용카드는 해킹사고가 발생해도 거래 내역을 복원할 수 있지만 블록체인은 불가능하다”며 “해킹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조항을 만들어 거래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이런 움직임에 한국 거래소 협회들이 통합작업에 적극 나설지 관심이다. 지난해 12월 한국블록체인 협회를 시작으로 블록체인산업협회,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등 4곳이나 되지만 정작 정부의 인가를 받은 곳은 없다. 그래서 지난 17일 한국블록체인협회가 거래소 운영을 위한 자율규제안을 발표했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협회 통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박정연 인턴기자 drcherryberry@decenter.kr
- 박정연 기자
- drcherryberry@decente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