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센터 위클리픽’은 이번 주 가장 흥미로웠던 이슈를 기자들이 직접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심두보 편집장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됐다…최종 의결된 ‘특금법 개정안’으로 달라지는 점은? (클릭)
소형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온 보도자료들. “우리도 잘 준비하고 있어! 우릴 버리지 마”라고 이야기하고 싶은 듯. 사실상 준허가제인데, ‘라이선스(?)’ 취득 여부에 기업 가치가 달려있음. 앗, 그리고 아마도 자본력과 조직을 갖춘 곳들도 이 시장에 발을 담글 것임. 이제 골목싸움이 아닌 UFC.
박현영 기자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됐다…최종 의결된 ‘특금법 개정안’으로 달라지는 점은?
이제 더 이상 ‘법이 없어서 문제다’라는 기사를 쓰지 않아도 된다! 시행령이 관건이지만, 암호화폐가 드디어 제도권 안에 들어온 업계 최고 빅 이슈.
노윤주 기자 빗썸 이름 단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가 등장했다…정체는? (클릭)
빗썸의 사업 방식은 며느리도 몰라! 빗썸 브랜드를 단 거래소가 등장할 때 마다 “직접 운영 아니다”라며 선 긋는 빗썸.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빗썸퓨처스’도 예외는 아님. 관계사들을 모아 놓은 ‘빗썸 패밀리’의 지분 구조도 베일에 쌓여 있는데... 빗썸의 브랜드 라이선싱 사업 확장은 패션기업 부럽지 않은 듯.
도예리 기자 빗썸 이름 단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가 등장했다…정체는?
빗썸은 브랜드만 빌려줬다고 단언함. 사업적 관련성이 없는데 이름만 빌려줬다? 기업이 자기 브랜드를 아무나 쓰도록 빌려주는지 의문.
조재석 기자 [Why?]비탈릭은 왜 트론의 스팀 인수 과정을 비판했을까?
중앙화 거래소들의 스팀 인수과정 개입과 스팀잇 증인들의 소수 담합까지. 사토시 나카모토가 울고 갈 일이 크립토 판에서 벌어지는 중. 제아무리 ‘신뢰할 필요 없는’ 기술이라지만, 블록체인을 돌리는 건 결국 사람. 철학이 부재한 합의 구조는 내 지갑 불려줄 짬짜미에 불과.
/조재석기자 cho@decenter.kr
- 조재석 기자




![[단독]교보생명, 서클과 손잡고 스테이블코인 실험](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80EHRE_5_s.jpg)
![업그레이드 카운트다운…이더리움 ‘5000달러 벽’ 뚫을까 [코주부]](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7S5HQV_1_s.jpg)





![한때 8% 치솟던 '김프' 꺼지자…코인 거래대금 '반토막' [코주부]](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RSPRFA_1_s.png)

![[코인 리포트] ‘검은 금요일'에 시총 판도 재편…"XRP, 강세 모멘텀 종료"](https://newsimg.sedaily.com/2025/10/17/2GZ7PSO6R6_1_s.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