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비트코인 서울 2024에 모인 국내외 제도·법률 전문가들은 늦기 전에 가상자산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와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견고해지는 추세를 한국이 놓치기만 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올해 들어 블랙록·JP모건 같은 전통 금융사들의 가상자산 생태계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가상자산 업계와 전통 금융권 모두 손발이 묶여 있는 상태다.
이날 서울 성수동 피치스도원에서 열린 ‘비트코인 서울 2024’ 특별 대담에서 그랜트 매카티(사진) 비트코인정책연구소(BPI) 공동 집행이사는 현재의 가상자산 시장을 “비트코인을 향한 글로벌 레이스가 벌어지는 중”으로 비유했다. 각국의 가상자산 관련 정책과 제도를 연구해 온 그는 “미국·홍콩도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했고 이제 어떻게 시장의 리더가 될지 고민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시작하지 않으면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매카티 집행이사는 한국을 “가상자산과 관련해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는 국가”로 지목하기도 했다. 과거 미국이 그랬듯 가상자산에 대한 의심과 두려움이 제도 수립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매카티 집행이사는 “그러나 미국은 이제 기업들이 자국에서 가상자산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를 자국민들이 받도록 가상자산을 받아들이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2021년 자국민들의 가상자산 투자와 채굴을 금지했지만 전 세계 비트코인의 15%는 중국인들이 투자하고 중국 기업들은 아프리카 등지에서 여전히 채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반대해도 비트코인을 멈출 수는 없다”고 역설했다.
(이어지는 기사 유럽은 시장 진입장벽 낮아…"금융 인프라 웹3로 바뀌는 중"[비트코인 서울 2024])
- 유주희 기자
- ginge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