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원화코인 속도내는 은행권···기술검증 속속 착수

시중銀 참여한 OBDIA, 기술검증 돌입

회원사 금융결제원과 협업 방안 논의

IT·유통사도 참여시켜 생태계 구축나서

농협銀-뮤직카우 MOU…개별은행 잰걸음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기술검증(PoC) 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법제화 이전부터 실제 시스템 작동 여부를 실험하는 단계에 들어서면서 원화 코인 발행 논의가 단순 구상 차원을 넘어 실행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모습이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DID협회(OBDIA)는 이날 회원사인 블록체인 기술업체 페어스퀘어랩과 함께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PoC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올 4월 OBDIA 회원사인 주요 은행들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준비에 협력키로 한 데 이어 실제 실험 단계로 접어든 것이다. OBDIA는 협회 내 스테이블코인 분과를 설립, 은행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공동 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BNK경남·BNK부산·IBK기업·iM뱅크·KB국민·케이뱅크·NH농협·SC제일·Sh수협·신한·우리·토스뱅크·하나은행 등 총 13개 은행과 금융결제원이 참여하고 있다. OBDIA 관계자는 “향후 PoC 결과를 바탕으로 회원사와 함께 다양한 활용방안과 상호운용성까지 확장 테스트할 계획”이라며 “회원사인 금융결제원과도 추가적인 협업방안을 논의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OBDIA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분과도 신설했다. 은행 중심의 기존 분과와 달리 스테이블코인의 실제 활용성과 민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결제·유통·정보기술(IT) 기업들이 대거 참여한다. LG CNS·비디젠·소프트제국·아이티센글로벌·아톤·코스콤·하이파이브랩·페어스퀘어랩 등 기존 회원사와 교보생명·다날핀테크 등 신규 회원사가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사업을 논의할 계획이다.

개별은행 차원에서도 준비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농협은행은 이날 핀테크 보안업체인 아톤, 글로벌 음악 저작권 투자플랫폼 뮤직카우와 3자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3사는 스테이블코인·토큰증권(STO)을 연계한 융합 사업모델 검증에 나선다. K콘텐츠 실물 자산 기반 STO와 결제·정산용 스테이블코인을 결합해 자산 유동성 확대와 투명한 거래 인프라를 검증할 계획이다. 특히 해외 K팝 팬들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해 K팝 저작권 STO를 구매하는 시나리오를 염두에 뒀다. 농협은행의한 관계자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수요처를 창출하고 K콘텐츠의 금융상품화·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은행권을 중심으로 사업 준비 움직임이 구체화하고 있는 데는 “은행부터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한국은행의 시그널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19일 임시국회 업무보고에서 "미래 지급결제시스템 대비 차원에서 스테이블코인은 필요하다"면서 "은행 중심으로 도입한 뒤 부작용을 점검해 단계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한은은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불가피한 흐름이라는 데 공감하면서도 발행 주체는 은행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을 거듭 밝히고 있다.

김현만 연구위원과·이주환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 새로운 금융 인프라의 부상’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시스템 개선을 위한 인프라로 작동하려면 가치 안정성에 대한 시장 신뢰와 유동성 문제 최소화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은행을 비롯한 기존 금융기관 중심의 컨소시엄 또는 신탁 구조를 기반으로 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이 경우 기존 시스템 내 금융규제와 감독 도구를 통한 준비금 투명성 확보가 용이하고 여러 금융기관의 자본력을 활용해 초기에 대규모의 유동성 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러한 금융기관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한 발행 구조는 준비금 구성 등에 대한 사전 규제를 통해 통화정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허용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열린 디지털자산 정책 세미나에서 “홍콩은 은행을 포함한 모든 법인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되 명확한 ‘사용처’가 있는지를 인가의 핵심 기준으로 본다”며 “우리 역시 자본금 규모로 막을 게 아니라 준비금을 잘 유지하는지 감독하는 ‘행위 규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중섭 기자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