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해외선 테더 쓰는데···국내선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5분의 1로 뚝

하루 거래 2000억 원대로 축소

가상자산 시장 위축에 같이 줄어

국내 생활경제 활용 한계 영향도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지난해 말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논의가 활발하지만 아직 실생활 경제에서 쓰임이 한정적이라 해외와 달리 거래 규모가 줄어드는 모습이다.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국내 5대 가상화폐거래소를 통한 스테이블코인(USDT, USDC, USDS) 거래대금은 일평균 238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1조 229억 원과 비교하면 80% 급감한 수준이다.

국내 스테이블코인의 일평균 거래 대금은 지난해 7월 1741억 원에서 점차 늘어 10월 3041억 원, 11월 6381억 원, 12월 1조 229억 원까지 불어났다.

이후 올해 1월 9238억 원, 2월 8794억 원에서 3∼5월 3000억 원대로 줄었고 6월에는 2000억 원대까지 쪼그라들었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 들어 가상자산 시장이 전체적으로 둔화한 영향이 크다.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거래 대금(일평균)은 올해 6월 중 3조 2000억 원으로, 지난해 12월 17조 1000억 원에서 크게 줄었다.

국내 가상자산 보유 금액 역시 6월 말 기준 89조 2000억 원으로, 1월 말 최고치(121조 8000억 원) 대비 감소했다.

특히 해외와 달리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거래 규모가 줄어든 이유로 꼽힌다. 해외에서는 스테이블코인으로 다른 가상자산을 매수하거나 스테이블코인을 실생활 경제에 쓰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스테이블코인 시총 규모 및 거래량이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 시가총액 기준 국내 상위 10개 가상자산 중 스테이블코인은 하나도 포함되지 않았지만 해외에서는 USDT와 USDC가 각각 3위, 7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로도 차이가 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북미지역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4450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아시아·태평양지역(4260억 달러), 유럽지역(3340억 달러), 아프리카·중동지역(2000억 달러),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지역 (1560억달러) 순이었다.


박민주 기자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