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특별기고]Bakkt는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를 강화할 게임 체인저


비트코인 가격이 1,000만원을 넘보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뭐니 뭐니 해도 Bakkt 출시 기대감 덕분이다. Bakkt는 뉴욕증권거래소를 보유한 ICE의 자회사로 실물인수도 방식의 비트코인 선물 거래 및 수탁 기능을 제공한다. 파트너로는 마이크로 소프트, 스타벅스, BCG 등이 있으며 홍콩 최대 부호 리카싱도 Bakkt에 투자한 바 있다.

Bakkt는 7월에 사용자 수용 테스트 (UAT, User Acceptance Testing) 를 시작해 고객들과 Bakkt의 거래 및 수탁 서비스 이용 관련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UAT를 거쳐 별다른 이슈가 없다면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고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출시하게 된다. ICE의 최대 경쟁사인 나스닥 역시 Bakkt와 유사한 형태의 Erix X에 투자한 바 있는데, Bakkt의 행보를 지켜본 나스닥 역시 직간접적으로 비트코인 실물 인수도 방식 선물 거래 출시를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나는 Bakkt가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를 강화할 게임 체인저라고 생각하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기관 투자자 자금 유입



최근 피델리티 자산운용이 411명 미국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22%가 이미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40%는 향후 5년 안에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 게다가 47%는 투자 포트폴리오에 디지털 자산을 포함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이 설문 조사 결과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관투자자의 관심이 유효함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그동안 디지털 자산에 투자하고 싶은 기관 투자자는 곤란한 문제를 겪었다. 바로 거래 및 수탁을 안전하게 도와줄 수 있는 마땅한 상대가 없다는 것이었다. 물론 코인베이스나 제미니 같은 현물거래소들이 기관을 대상으로 거래 및 수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수십, 수백 조를 운용하는 대형 자산운용사 눈에 이들은 단지 스타트업일 뿐이다. 비교적 운용 자산 규모가 작은 패밀리 오피스나 크립토 펀드, 헤지펀드는 현물 거래소를 이용하지만 막대한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빅 건’ (Big gun)들은 당연히 현물 거래소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들이 비트코인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CME나 Cboe 가 제공하는 선물거래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CME와 Cboe의 비트코인 선물거래가 현금결제 방식이라는 점이다. 투자자는 일정한 기간마다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따른 차액만큼만 현금으로 정산할 뿐, 비트코인을 실제로 보유할 수 없다.

Bakkt는 위 문제를 해결한다. Bakkt는 모회사인 ICE의 신용과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쉽게 대형 자산 운용사를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다. 단기 트레이딩 보다 장기투자를 선호하는 가치투자자는 비트코인을 실질적으로 보유함으로써 ‘매수 후 보유 (Buy and Hold)’ 전략을 구사할 수도 있다. 게다가 Bakkt는 규제되지 않은, 불투명한 현물 시장 가격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 가격의 신뢰성을 재고한다. 또한, Bakkt는 청산 위험에 대비해 3,500만 달러 (한화 약 420억)을 투입할 계획이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Bakkt는 자산군으로서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는데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2 비트코인 ETF 출시

여태껏 비트코인 ETF가 신청되었지만 모두 반려되었다. 미국 SEC가 비트코인 ETF를 승인해주지 않은 이유는 디지털 자산 업계 내 가격 조작, 자전거래, 해킹 등 이슈가 끊이질 않았기 때문에 신뢰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비트코인 ETF를 신청한 기관들이 가격을 참고하는 것이 대개 신뢰할 만한 현물 거래소(코인베이스, 비트스탬프, 제미니 등) 및 MVBTCO(컴버랜드, 서클, 제네시스 트레이딩과 같은 글로벌 OTC 기관들이 만든 장외거래 지수, 국내에서는 체인파트너스가 위 업체들에 온보딩 되어있는 대표적인 디지털 자산 OTC 기관이다)인데, SEC가 보기에는 이마저 충분치 않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Bakkt가 본격적으로 출범하고 나스닥 역시 비슷한 서비스를 출시한다면 신뢰의 문제가 해결된다. 세계 최대 거래소인 ICE의 Bakkt와 나스닥이 제공하는 투명한 비트코인 가격 정보에 기반한 비트코인 ETF가 신청된다면 SEC는 이를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 비트코인 ETF를 시작으로 월가의 금융기관들은 앞다투어 비트코인 관련 금융상품을 출시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실제로 Bakkt의 비전은 비트코인이 밀레니얼 세대의 퇴직연금에 포함되는 것인데, 언젠가 국민연금도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을 포함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비트코인은 신뢰의 도약을 앞두고 있다. 비트코인 발전 1단계는 범죄자와 소수의 얼리 어답터들이 취급하는 단계였고 2단계는 가격 버블로 인해 비트코인이 상업성을 증명하며 일확천금을 노리는 투기꾼과 사기꾼이 몰려드는 단계였다. 그러나 3단계부터는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고 대기업이 뛰어들기 시작하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가 강화되는 단계이다. 우리는 지금 2단계에서 3단계로 이행하고 있다. 비단 ICE와 나스닥뿐만 아니라 삼성, 스타벅스, 페이스북, IBM, 마이크로 소프트, 골드만삭스, 라쿠텐 등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이 모두 비트코인을 비롯한 디지털 자산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며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혹자의 논리대로 비트코인이 사기면 이 대기업들은 전부 바보일까? ‘가상화폐 (참고로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을 화폐가 아닌 ’디지털 자산‘ 혹은 ’암호 자산‘으로 표기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와 블록체인 육성은 별개’라는 입장을 고수하는 국내 상황이 아쉬운 이유이다./한중섭 체인파트너스 리서치센터장

심두보 기자
shim@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