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도예리의 NFT 레이더] '미비츠', BAYC 유가랩스가 샀다는 소식에 거래량 1,500% 돌파



대체불가능한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대한 세상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NFT 하나가 수십 억 원에 거래되는 세상입니다. 열기가 이어질지 이대로 식을지는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시적 현상으로 치부하기엔 NFT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NFT를 발행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그 NFT를 사고 싶어하는 건 아닙니다. 사람들의 소유욕을 자극하는 NFT는 무엇인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대체 왜 인기가 많은 건지 [도예리의 NFT 레이더]에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공부하면서 유망한 NFT 프로젝트를 가려내는 식견이 생기길 기대합니다.






최근 일주일 간 거래량이 1,500% 넘게 뛴 NFT 프로젝트가 있다. ‘미비츠(Meebits)’란 프로젝트다.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지난 14일 오픈씨 기준 미비츠의 최근 7일 거래량은 1,562.99% 증가한 1만 487.03ETH를 기록했다. 이날 기준 플로어프라이스는 4.79ETH이고, 홀더 수는 6,017명이다.

미비츠는 3D 복셀로 구현된 NFT다./출처=오픈씨.


미비츠 NFT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총 2만 개 발행됐다. 3D 복셀로 구현된 아바타는 저마다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머리 색, 스타일, 옷 색깔, 신발 종류 등 희귀한 아이템 조합일수록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미비츠는 라바랩스(Larva Labs)가 주도한 NFT프로젝트다. 라바랩스는 지난 2017년 일찍이 크립토펑크 NFT를 발행했다. 지난해 NFT 돌풍이 일면서 크립토펑크 가격은 수직 상승했다. 오픈씨에 올라와 있는 크립토펑크 NFT 중 가장 낮은 가격은 개당 80ETH다. 1ETH에 약 3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적어도 2억 4,000만 원 이상은 있어야 크립토펑크 NFT 하나를 매입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출처=미비츠 공식홈페이지.


이처럼 NFT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라바랩스의 크립토펑크, 미비츠 NFT를 최근 유가랩스가 인수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유가랩스는 크립토펑크와 미비츠의 NFT 콜렉션 지적재산권(IP)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유가랩스는 ‘지루한 원숭이들의 요트 클럽(BAYC, Bored Ape Yacht Club)’을 발행한 곳이다. (★디센터 기사 참조 [도예리의 NFT레이더] 거래량 10만 달러 돌파…BAYC의 성공 비결은?)

유가랩스는 크립토펑크 IP 423개, 미비츠 IP 1,711개를 확보했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미비츠는 물론이고 크립토펑크의 거래량까지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라바랩스의 공동 창업자인 맷 홀(Matt Hall)과 존 왓킨슨(John Watkinson)은 “유가랩스는 현대 프로필 사진 프로젝트의 혁신가들”이라면서 “유가랩스가 이끄는 한 새로이 부상하고 있는 탈중앙화웹에서 크립토펑크와 미비츠가 지속적으로 번창하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지난 12일(현지시간) BAYC 발행사 유가랩스는 크립토펑크와 미비츠를 인수했다고 밝혔다./출처=유가랩스.


이번 인수로 라바랩스 공동 설립자들이 유가랩스에 합류하는 건 아니다. 이들은 라바랩스를 계속 운영하며, 웹3.0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이번 인수가 홀더들에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유가랩스는 BAYC NFT 홀더들에게 저작권을 함께 부여하고 있다. 홀더는 보유한 BAYC NFT를 활용해 굿즈(goods)서부터 애니메이션, 책까지 다방면으로 제작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유가랩스는 마찬가지로 크립토펑크와 미비츠 홀더들에게도 이 같은 권한을 부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가랩스 관계자는 “법률팀과 협력해 두 콜렉션에 대한 새로운 약관을 작성 중”이라며 “조만간 관련 내용을 커뮤니티와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즉 미비츠 NFT를 보유하고 있다면 이를 활용해 홀더가 다양한 상품을 제작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행보는 전세계 대표 콘텐츠 기업 디즈니와 확연히 대조된다. 디즈니는 저작권 관리에 엄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무인도에 고립되면 미키마우스 그림을 그리면 디즈니가 잡으러 간다” 등 우스갯 소리도 있다. 과연 유가랩스의 탈중앙화 디즈니 전략이 콘텐츠 생태계 판도를 뒤바꿀 수 있을지 기대된다.
도예리 기자
yeri.do@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