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을 예치만 해도 이자를 지급하고 결제와 송금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앱이 나온다. 코인 지갑과 핀테크 기능을 모두 종합한 말 그대로 슈퍼 앱이다. 카카오와 라인이 손잡은 블록체인 카이아(KAIA)와 라인 넥스트가 공동 개발하는 이 앱은 '프로젝트 유니파이(가칭)'라는 이름으로 연내 베타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김우석 라인 넥스트 최고전략책임자(CSO)는 22일 서울 강남구 파크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카이아 스테이블코인 간담회’에서 “미국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주도하는 현실에서 한국과 아시아의 성공 사례를 빠르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유니파이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유나파이 앱의 핵심 기능은 스테이블코인을 보관만 해도 별도의 상품 가입 과정 없이도 바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파킹통장 리워드'다. 기존 스테이블코인 이자 지급 서비스와 달리 상품 가입·해지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사용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라인 넥스트는 현재 관련 특허 출원도 진행하고 있다.
비자(Visa) 네트워크 기반의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결제·페이백도 가능할 전망이다. 김 CSO는 “이후에는 QR코드로 바로 가맹점 결제가 가능한 기능을 추가할 것”이라며 “특히 스테이블코인 결제 네이티브인 젊은 세대를 겨냥해 이들의 이용이 많은 온오프라인 가맹점과의 협력 논의를 진행 중이다”고 설명했다.
가상화폐 지갑이 없더라도 문자 메시지만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주고받거나 스테이블코인을 법정화폐로 환전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앱에서 이자 수익과 송금, 결제 등 스테이블코인 기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블록체인 게임 등 다른 디앱도 바로 즐길 수 있도록 유니파이 앱에 100개 이상의 디앱도 연동한다.
카이아와 라인넥스트는 이 앱을 카이아 기반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DApp·디앱)뿐 아니라 라인 메신저 내 미니 디앱 형태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카이아는 유니파이 앱을 발판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의 기본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서상민 카이아DLT재단 의장은 이날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면 카이아가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무조건 들어가도록 하겠다”며 이를 위한 스테이블코인 기술 얼라이언스 ‘K-스타’ 출범을 발표했다.
K-스타 얼라이언스는 누구나 쉽게 스테이블코인을 발행·관리할 수 있는 원스톱 인프라를 제공할 계획이다. 초기 회원사는 △스테이블코인 발행 대행 및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는 ‘오픈에셋’ △블록체인 노드 인프라·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하는 ‘람다256’ △가상화폐 지갑 서비스를 운영하는 ‘안랩블록체인컴퍼니’ △카이아다.
서 의장은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만 있다고 발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며 “카이아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유통사를 위한 기술 얼라이언스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경쟁력을 갖추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원화뿐 아니라 아시아 각국 통화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의 유동성 허브가 되겠다는 장기 목표도 내놨다. 이를 위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유통·활용을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조율하는 ‘스테이블코인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를 공개했다. 이는 카이아 상의 법정통화와 스테이블코인 간 환전 기능과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이자 수익을 제공하는 ‘일드 엔진’, 스테이블코인 전송·가치 교환을 지원하는 ‘FX 엔진'으로 구성된 기술 레이어다. 이 레이어 위에 다양한 아시아 통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올려 카이아를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의 핵심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인도네시아 루피아 스테이블코인은 카이아 온보딩을 진행 중이고 일본 엔화, 싱가포르 달러 등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와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서 의장은 “테더와 서클 등 스테이블코인 선도 기업들을 만나보면 아시아에 대해서는 정말 모른다는 인상을 받는다. 아시아 국가가 어디에 있는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도 전혀 모른다”며 “반면 카이아는 아시아 13개국에 직원들이 있어 현지 문제를 풀 수 있는 팀으로 테더·서클이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진출하기 전에 이를 선점하려 한다”고 밝혔다.
- 김정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