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암호화폐 수장이자 ‘크립토 시저’로 불리는 발레리 슈체파닉( Valerie Szczepanik)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연방증권법 상 문제를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디크립트에 따르면 슈체파닉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오스틴의 SXSW회의에서 특정 종류의 스테이블코인은 증권법 상 증권에 해당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슈체파닉은 스테이블코인을 △금이나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연동되는 코인 △법정화폐에 연동되는 코인 △시장 금융 매커니즘을 활용해 가격을 안정시키는 코인 세 가지로 분류했다. 그가 증권에 해당될 수 있다고 밝힌 스테이블코인은 위 분류 중 세 번째 경우다.
슈체파닉은 “다른 디지털자산에 엮여있거나, 수요 공급의 원리로 가격을 유지하는 등 가격 안정 매커니즘을 통해 가격 변동을 통제하는 스테이블코인을 주목해왔다”고 말했다. 암호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과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슈체파닉에 따르면 구매자들이 특정 주체에 의해 안정된 가격을 보장 받을 경우, 가격 안정 매커니즘에 따른 스테이블코인은 증권에 해당될 수 있다.
슈체파닉은 암호화폐를 발행할 경우 SEC에 등록하는 절차를 거치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그는 “(발행할 암호화폐가) 스테이블코인이든 아니든 SEC에 미리 말한 뒤 행동에 옮기는 게 낫다”고 강조했다.
슈체파닉은 지난해 6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금융부문 부이사 겸 디지털 자산 및 혁신부문 선임자문관으로 임명됐다. 6월 임명 전까지 분산원장 워킹 그룹을 이끌어왔던 슈체파닉은 지난해 10월 SEC의 암호화폐·블록체인 전담 부서인 ‘핀허브(FinHub)’의 수장까지 맡으면서 ‘크립토 시저’로 불리고 있다.
/박현영기자 hyun@decenter.kr
- 박현영 기자
 



                        
                                    


![[코인 리포트] 거품 꺼진 가상화폐 전략비축 열풍…코인 보유가치 하회 기업 속출](https://newsimg.sedaily.com/2025/10/31/2GZE4VJJ2N_1_s.jpeg)
![주요 가상화폐 일제히 급락…"수년만에 최악의 10월" [디센터 시황]](https://newsimg.sedaily.com/2025/10/31/2GZE3O8LQP_1_s.png)

![한때 8% 치솟던 '김프' 꺼지자…코인 거래대금 '반토막' [코주부]](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RSPRFA_1_s.png)

![[코인 리포트] ‘검은 금요일'에 시총 판도 재편…"XRP, 강세 모멘텀 종료"](https://newsimg.sedaily.com/2025/10/17/2GZ7PSO6R6_1_s.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