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b "한국 암호화폐 시장 비효율 없앤다“

한국 암호화폐 거래량 많지만…투자 방식은 비효율적

"원화 페깅 스테이블코인으로 투자 위한 인프라 확보"

법정화페 페깅 스테이블코인의 신뢰 문제, 질권 설정·회계 감사로 해결

유통량 확보하는 게 우선…"관련 규제 확실시되면 결제까지 진출"

강지호 BxB 대표.

2017년 말 대한민국을 휩쓸었던 ‘비트코인 붐’은 지나간 지 오래지만, 한국은 여전히 전세계 암호화페 시장의 큰 축을 맡고 있다. 20일 현재 국가 통화별 비트코인(BTC) 거래량을 보면 원화 거래량은 엔화, 달러화에 이은 3위다.

거래 규모를 기준으로 생각했을 때 한국에서의 암호화폐 투자는 어렵지 않아 보인다. 시장이 크면 투자 방식도 효율적으로 진화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지호 BxB 대표는 “한국에선 암호화폐 자본 이동이 굉장히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한 때 한국에서만 암호화폐 시세가 높은 ‘김치프리미엄’이 있었던 것도 자본 이동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원화 거래량은 많지만,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중 원화 입출금을 지원하는 곳은 드물다. 금융 관련 규제가 엄격한 탓에 해외 암호화폐나 투자 자본이 국내로 유입되는 것도 쉽지 않다. 강 대표는 “국내에서 암호화폐 가격이 폭등하면 해외 암호화폐들이 더 많이 들어와야 가격이 안정화되는데, 금융 규제가 강하다보니 이런 자본 이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그래서 김치프리미엄 같은 가격 거품도 꼈고 한국 투자자들이 손해를 많이 봐야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강 대표는 원화에 연동(페깅)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한국 암호화폐 시장의 비효율을 없애는 데 원화 페깅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다”며 “해외 거래소에 원화 페깅 스테이블코인을 상장시키면, 그 거래소가 원화 입출금을 지원하지 않더라도 한국 투자자들이 쉽게 거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금융 인프라가 다른 국가에 비해 발달했듯, 암호화폐 투자를 위한 인프라도 발달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렇게 등장한 세계 최초 원화 페깅 스테이블코인 ‘KRWb’는 말그대로 원화와 1:1로 연동된다. 지난달 말 출시 이후 현재까지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발행은 이더리움의 토큰 발행 표준인 ERC20로 이루어졌다. KRWb의 유통량과 거래 내역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투명하게 공개된다. 강 대표는 “대중이 KRWb를 처음 얻을 수 있는 통로는 암호화폐 거래소”라며 “거래소와 가장 호환이 잘 되는 표준이 ERC20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KRWb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원화 페깅 스테이블코인, 구상부터 발행까지
원화 페깅 스테이블코인을 실제 발행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미리 검토해야 했기 때문이다. 우선 BxB는 KRWb가 증권에 해당할 가능성을 배제했다. 기업 자산과 연동되는 증권처럼 간주될 경우 국내 자본시장법 상 규제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강 대표는 “KRWb는 원화와 동일한 가치를 갖도록 설계된 유틸리티토큰일뿐”이라며 “KRWb를 가졌다고 해서 원화로의 환급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생기는 것은 아니므로 증권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혹시 모를 가능성까지 원천 차단하기 위해 첫 발행량은 4억원 어치로 적게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테더(USDT) 등 법정화폐 페깅 스테이블코인이 겪었던 신뢰 문제도 사전에 차단했다. 법정화폐 페깅 스테이블코인은 발행사가 코인 발행량 만큼의 법정화폐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테더는 이를 제대로 증명하지 못해 신뢰 논란을 겪은 바 있다.

이에 대해 강 대표는 “BxB 법인계좌에 원화가 들어오면 이를 기초로 KRWb를 발행하는 구조”라며 “원화 예금에 대한 질권자가 따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질권자는 BxB와 질권 설정 계약을 체결한 회계 컨설팅 펌이 담당한다. 강 대표는 “원화를 반환할 땐 KRWb를 먼저 소각하고, 그 후 예금 계좌에서 원화를 출금한다”며 “원화 출금 시 질권자와 BxB의 공동 승인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KRWb 발행량 만큼 원화를 확실히 예치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신뢰 구축을 위해 회계 감사도 진행한다. 제미니달러(GUSD), 팍소스스탠다드토큰(PAX) 등 법정화폐 페깅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이 신뢰를 얻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강 대표는 “KRWb 발행량에 변동이 있는 경우 발행사 자체 보고서와 회계법인 실사 보고서를 함께 발행하고, 매달 은행 장부 보고서도 공개한다”고 밝혔다.

KRWb,남은 과제는?…“경쟁력·유통량 확보 중요”
안전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자 탄탄한 준비과정을 거쳤지만, BxB에게도 과제는 남아있다. 다이(DAI) 같은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이나 베이시스(BASIS) 같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과의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유통량을 확보한 뒤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처를 넓히는 일 역시 중요하다.

강 대표는 “다이나 베이시스 같은 스테이블코인들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해야 가격이 안정화되는 형태”라며 “거래자를 많이 확보하는 게 우선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에 급격한 가격 변동이 발생했을 때는 알고리즘보다 발행사가 좀 더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고 본다”며 법정화폐 페깅 스테이블코인이 가진 장점을 시사했다. 거래자가 많지 않은 시점에서는 발행사가 알고리즘보다 스테이블코인의 수요 공급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는 얘기다.

강 대표는 KRWb만의 경쟁력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US달러 페깅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스테이블코인으로서의 경쟁력은 있을지 몰라도 한국 투자자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KRWb는 전세계 암호화폐 시장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 투자자들이 더욱 투자하기 편하도록 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결제 등 실사용 분야로 KRWb의 활용처를 넓히는 데에는 규제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고 봤다. 강 대표는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결제를 가능하게 할 존재이기 때문에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결제 분야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면서 “하지만 실제 결제 분야로 가게 되면 전자금융법 등 지급수단 관련 법률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암호화폐 관련 규제가 확실시돼야 실사용처를 더 넓힐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결제 분야로 진출하기 전까지는 유통량을 늘리는 게 목표다. 강 대표는 “KRWb가 실물경제에 활용돼기 위해선 시장 유통량이 먼저 확보돼야 한다”며 “지금은 가격을 안정화하고 거래 통로를 확보하는 데에 먼저 신경을 쓰고, KRWb가 안정적으로 유통된다는 인식을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영기자 hyun@decenter.kr

박현영 기자
hyun@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