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대기업 X 블록체인]⑦축산·할랄 추적하는 농심NDS “블록체인·IoT 등 다방면 투자해야”

홍성완 NDS 전략사업본부 상무가 기자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도예리 기자.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확산이 되지 못하는 이유는 기술 문제에 있지 않습니다. 투자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비즈니스 모델이 없기 때문입니다.”

지난 2일 서울 신대방동 농심데이타시스템(NDS) 본사에서 기자와 만난 홍성완 NDS 전략사업본부 상무는 “축산물 이력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했을 때 가장 이득을 보는 주체가 투자에 나서야 한다”며 “현재 그런 주체가 보이지 않아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NDS는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블록체인 6대 시범사업 가운데 하나인 축산물 이력관리의 주관 기업이다. 당시에는 기존 이력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시범 사업을 했다. 올해는 전북에 있는 브랜드 경영체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브랜드 경영체는 특정 지역 농가와 위탁 계약을 맺고 그곳에서 생산된 소의 도축 및 가공, 유통까지 책임져 주는 회사다.



‘오라클 이슈’ 해결하려면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장비 필요
식품 유통망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면 소비자는 식품 이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상에 올라온 정보는 변경이 불가능하기에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누군가 중간에 정보를 바꿀 가능성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뿐 아니다. 식품 유통망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식품이 이동할 때마다 발생하는 거래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데이터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월마트, 알리바바 등 글로벌 대기업이 식품 유통망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하려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는 이유다.

문제는 블록체인에 오프라인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이다. 이른바 ‘오라클 이슈’다. 오라클이란 블록체인 밖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내부로 들여오는 기술을 뜻한다. 블록체인에 기입된 정보가 처음부터 잘못된 데이터라면 식품 공급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의미가 사라진다. 블록체인 기술이 실질적 효과를 내기 위해선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 필요한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장비가 뒷받침돼야 한다.


공급망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가운데 선뜻 투자에 나서는 주체 없어
이를테면 소의 이력 추적을 위해선 소귀에 칩을 장착해야 한다. NDS는 블루투스 기반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개발했다. 60m 범위 내에서 스캐닝이 가능해 자동으로 데이터를 모을 수 있다. 문제는 가격이다. 홍성완 상무는 “농가에서도 (기술이) 만족할만한 수준이었지만 양산이 안 되다 보니 (칩) 가격이 비싸다”고 전했다. 그는 “소의 유통과정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려면 그 과정에서 각종 IoT 장비가 필요하다”며 “이 부분은 필연적으로 투자가 있어야 하는데 (한국에선)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는 이해관계자 가운데 선뜻 나서는 주체가 없다”고 전했다.

축산물 유통망에 참여하는 주요 관계자는 크게 4개 주체로 나뉠 수 있다. 농가, 도축장, 가공장, 그리고 대형 마트와 같은 리테일러다. 홍 상무는 “이 가운데 대규모로 투자할 여력이 있는 곳은 리테일러나 브랜드 경영체”라며 그런데 이들이 투자에 소극적이라고 전했다. 블록체인 기반 이력관리에 돈을 투자하고, 그만큼 브랜드 가치를 높여 보다 비싼 가격에 상품을 공급하겠다는 기업을 지금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홍 상무는 “정부와 협력해 하는 사업은 많이 하고 있지만, 그 외 민간 영역에선 블록체인 기반 사업을 확장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이 같은 고충은 블록체인으로 사업을 하려는 다른 기업도 마찬가지로 겪고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왜 우리나라에선 월마트처럼 블록체인 기반 유통망 구축에 관심을 보이는 대형 마트가 없느냐고 묻자 홍 상무는 “결정적 계기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월마트가 블록체인 식품 이력 추적 프로그램을 도입한 주요 계기는 지난해 초 미국 애리조나 지역에서 발생한 대장균 사건이다. 당시 현지 질병관리당국은 애리조나 유마 지역 인근에서 재배된 양상추를 구매하지 말라고 소비자에게 당부했다. 그러나 월마트 등 유통업체들은 양상추가 어디서 생산됐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홍 상무는 그러나 “시장이 형성되면 IoT 기기가 대량생산 돼 가격이 낮아질 것”이라며 긍정적 전망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축산물 이력서비스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인증, 더 나아가 전자상거래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군도 축산물 위주에서 가공식품까지 다변화해 나갈 예정이다.


할랄 인증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
NDS는 할랄(Halal) 인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할랄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이란 의미다. 이슬람교를 믿는 무슬림이 먹을 수 있는 식품과 사용 가능한 물건을 뜻한다. 할랄 푸드는 이슬람 율법에 허용된 방식대로 도축되고, 조리된 음식을 일컫는다. 농심은 2011년 부산에 할랄 푸드 전용 공장을 세웠다. ‘할랄 신라면’은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40여 주요 이슬람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지난해엔 말레이시아에서 약 4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홍 상무는 “할랄 인증받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데 이 과정을 블록체인으로 하면 쉽지 않겠느냐”며 “해외 파트너와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양한 수익모델 고려
홍 상무는 이력추적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수익 모델로 이더리움처럼 가스비(Gas fee) 받는 걸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스비는 이더리움상에서 스마트 콘트랙트를 처리할 때 이용자에게 부과되는 수수료다. 이력제 플랫폼을 구축해 놓고, 소의 출생 등 새로운 데이터가 등록될 때마다 운영비를 받는 모델을 고민 중이란 설명이다. 토큰 이코노미 역시 고려하고 있다. 그는 “식품 쪽이 어떤 모델이 될지는 모르지만 이해관계자가 많기 때문에 두루두루 사용할 여지가 있다”며 “건강 분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그쪽으로도 호환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많은 기업이 블록체인을 말하고 있지만 정작 수익구조를 만든 곳은 찾아보기 힘들다며 이 부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예리기자 yeri.do@decenter.kr

도예리 기자
yeri.do@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