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FIU 3년째 침묵··· 고파이 피해자들, 정부에 신고수리 촉구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 참석자들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행사 중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고파이 피해자 구제를 위한 정책·법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진=도예리 기자


1000억 원대 규모 피해가 발생한 고파이 투자자들이 금융정보분석원(FIU)의 대주주 변경신고 수리 지연을 강하게 비판하며 정부에 조속한 행정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에 참석한 한 피해자는 “FIU가 2년 넘게 신고 수리를 미루면서 일상적인 삶조차 유지할 수 없게 됐다”며 “차기 정부를 이끌 여야 후보들이 이 사안에 관심을 갖고 해결에 나서달라”고 호소했다.



고파이는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가 운영하던 가상자산 예치 상품이다. 2022년 글로벌 거래소 FTX 파산 여파로 운용사인 제네시스 글로벌이 지급불능에 빠지며 대규모 투자금 손실이 발생했다. 이후 바이낸스는 고파이 피해 구제를 전제로 고팍스 인수를 추진했지만 FIU가 고팍스의 대주주 변경 신고를 장기간 수리하지 않으며 구제 절차가 멈춰선 상태다.

이언호 법무법인 한영 대표변호사는 “2023년부터 FIU에 세 차례에 걸쳐 임원 변경 신고를 했지만, 모두 수리되지 않았고 공식적인 불수리 사유조차 통보받지 못했다”며 “현행 특금법상 요건을 충족했음에도 재무구조 개선과 같은 법에 없는 조건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명백한 위법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경제 디센터가 입수한 녹취록에 따르면 바이낸스 측은 현재 마련돼 있는 상환 재원을 사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확인됐다. 고파이 예치금 반환을 조건으로 고팍스 지분을 저렴한 가격에 인수했지만 FIU 승인 지연을 이유로 이를 이행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날 행사에서 한 피해자는 “FIU가 사업자 신고를 수리하면 고파이 예치금 전액을 상환할 의사가 있느냐”고 질문했지만 조영중 고팍스 대표와 스티브 영 김 바이낸스 이사는 이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한 고파이 피해자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도예리 기자


도예리 기자
yeri.do@sedaily.com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